PNU-CSE 9

객체지향프로그래밍 텀 프로젝트(2학년 2학기)

Java를 이용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통해 관광객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gui와 server DB를 통한 효율적 프로그램 구성이 목표 명 칭 :Map Navigation for Tourist 주 제 :부산관광명소 및 유명상가 안내 프로그램 목 표 : 관광객 및 부산 내 관광지와 유명상가에 대한 위치 안내와 교통편 안내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쉬운 인터페이스와 사용법으로 정보 제공 화면 구성 실행 화면 부산 전체 지도에서 원하는 부분 클릭을 통해 세부 지도를 볼수 있다. 각 지역의 사분면 지도 정보와 위성 사진을 볼수 있다. (DB연동시 해당 지역의 관광지, 명소, 맛집등을 확인할수 있다.)

PNU-CSE/2학년 2010.06.29

genotype & phenotype

유전자형 [遺傳子型, genotype] 요약 생물이 가지고 있는 특정한 유전자의 조합. 또는 그 생물 개체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전체의 집합을 가리키기도 한다. 본문 유전자형은 표현형(表現型: phenotype)과 대비되는 용어이다. 이 용어 자체는 유전학의 기반을 세웠다고 할 수 있는 멘델의 실험을 설명하기 위해서 처음 나타난 개념이지만 이후 유전학이 발전하면서 그 개념이 크게 확장되었다. 멘델 자신이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멘델의 실험에서 유전자형과 표현형이라는 개념은 모두 형질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즉 유전 인자(vererbungsfaktor)에 의해서 생물 내부적으로 결정되는 숨겨진 형질이 바로 유전자형이며, 그것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이 표현형이 된다. 동그란 완두콩을 예로 ..

PNU-CSE/4학년 2010.05.19

DES (Data Encryption Standard) ; 데이터 암호 표준

DES는 개인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법으로서 널리 사용되며, 미국 정부는 이 알고리즘을 해독하기 어렵다고 판정하고 다른 나라들에 수출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DES에는 72,000,000,000,000,000 (72천조)개 이상의 암호 키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주어진 각 메시지를 위한 키는, 이렇게 막대한 량의 키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된다. 다른 개인키 암호화 방법과 마찬가지로, 송신자와 수신자 둘 모두는 동일한 개인키를 알고, 사용해야만 한다. DES는 각 64 비트 데이터 블록에, 56 비트 길이의 키를 적용한다. 이 과정은 여러 가지 모드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16번의 연산이 수반된다. 비록 DES가 강력한 암호화이라고 판단되고는 있지만, 많은 회사들은 세 개의 키가 잇달아 적..

PNU-CSE/4학년 2010.05.19

시스템 소프트웨어 텀 프로젝트(2007년 2학년2학기)

SIC/XE의 assembler와 loader를 구현하는 프로젝트였다 3인 1조의 팀구성으로 수업시간에 배운 assembler와 링크 로더를 직접 구현해보면서 동작원리를 확실히 이해하기 위해 고생했다 Assembly File -> Assembler -> Object File -> Loader -> Memory map 위와같은 구조로 만들어졌고, 필수 구현 사항 - SIC/XE Assembler 구현 - Two Pass로 구현 - 사칙연산 - 주석문 처리 - Memory에 올라간 프로그램 이미지 ● 추가 구현 사항 (가산점 부여) - GUI로 구현 - ONE PASS 구현 - MACRO process - 기타 기능 등이 주어졌다. 동작구조는 2pass로 어셈블러와 로더가 구성되고 asm 파일을 받아서 Ma..

PNU-CSE/2학년 2010.05.19

유닉스 텀프로젝트(2007년 2학년1학기)

2학년 1학기 다이나믹했던 제대후 시작의 첫 텀 프로젝트!! 3인 1조의 팀 구성으로 간단히 유닉스를 이해하고 Thread, socket, semaphore, mutex, pipe, shared memory 등을 이용한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었다 우리가 만든 프로그램은 루미큐브라는 보드게임이었고 사실 기초는 당시 세이클럽에 있던 루미큐브 게임에서 배경화면과 각 그림들을 빌려서 만들었다. 대충 이런 구조?? 였다 1. 서버 프로그래밍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간의 패킷교환을 한다. 채팅 서버 구현 후 패킷 전달을 통한 채팅을 가능하게 한다. 2.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 서버에 접속 룰 판단 -> 서버 패킷 전송 서버에서 받은 패킷을 분석 -> 화면 갱신 게임 종료 승리(종료) 패킷을 서버로..

PNU-CSE/2학년 2010.05.19